◆ 인도 펀드 수익률 고공행진 "1년 수익률 34%, 3년 수익률 62%, 5년 수익률 132%..."
인도 펀드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. 서울 강남 고액 자산가들의 뭉칫돈이 밀려들면서 순자산 규모는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섰다.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인도 시장의 가능성을 내다보고 현지 증권사 셰어칸을 인수한 이후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eRiZ/btsE2CTnp2E/rZXdKVrkpLOlIIzRxOTzWK/img.jpg)
3년 수익률 해외펀드 1위
19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에 설정된 28개 인도 주식형 펀드의 순자산 규모는 2조560억원으로 집계됐다. 몇 년 전까지만 해도 ‘마이너 상품’ 취급을 받았지만 이젠 전체 해외 주식형 펀드 중 미국(22조5705억원) 중국(5조1896억원) 다음으로 덩치가 커졌다. 설정액 규모가 1조3억원이란 점을 감안하면 펀드 가입자는 평균 두 배 이상 수익을 올리고 있는 셈이다.
인도 펀드의 1년 평균 수익률은 34.14%로 집계됐다. 이 기간 유형별 해외 주식형 펀드 중 미국(36.43%)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2위였다. 베트남(18.51%) 중국(-26.04%) 등 다른 신흥국 펀드를 압도했다.
펀드별로 보면 ‘삼성인도중소형FOCUS’의 수익률이 59.86%로 가장 높았다. 다음으로 ‘미래에셋연금인디아인프라’(50.69%), ‘신한인디아’(30.76%), ‘피델리티인디아’(28.38%) 등의 성과가 우수했다. 상장지수펀드(ETF)인 ‘KOSEF NIFTY50인디아’의 수익률은 23.61%로 집계됐다.
중장기 수익률도 우수하다. 3년 기준으로는 인도 펀드 수익률이 62.16%로 전체 해외 펀드 중 단연 1위다. 같은 기간 신흥국 시장뿐 아니라 미국(41.23%) 일본(31.84%) 등 선진국 펀드보다도 높았다.
중국에서 인도로 ‘머니무브’
미래에셋의 글로벌전략가(GSO) 박 회장은 지난해 12월 인도 증권사 셰어칸을 인수했다. 그는 인도 시장의 강점으로 미·중 갈등의 반사이익을 얻고 있고 평균 연령이 낮으며 혁신 정보기술(IT)·디지털 전문인력을 끊임없이 배출하고 있다는 점 등을 꼽았다.
월가도 인도가 머지않아 중국을 대체할 것이란 의견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. 인도 증시 시가총액은 지난달 4조달러(약 5344조원)를 넘어서며 홍콩을 제치고 세계 4위로 도약했다. 모건스탠리는 2030년 인도 증시가 세계 3대 주식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. 국제통화기금(IMF)에 따르면 올해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6.5%로 세계 평균(3.1%)은 물론 중국(4.6%)도 웃돌았다.
신흥국 대표 투자처이던 중국이 경제 성장 둔화, 부동산시장 침체 등으로 부진하자 인도 펀드로 투자금을 옮기는 ‘머니무브’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. 서울 강남의 한 프라이빗뱅커(PB)는 “인도는 신흥국 펀드로 분류되지만 미국 펀드처럼 수익률이 들쭉날쭉하지 않고 매년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”며 “퇴직연금 등 중장기 수익을 목표로 하는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”고 말했다.
<2024년 2월 20일 화요일자 한국경제신문 中>
'경제신문 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광주 '위파크 일곡공원' 903가구 분양 (0) | 2024.02.20 |
---|---|
'의료대란' 우려…비대면 진료株 일제히 급등 (1) | 2024.02.20 |
2월은 대주주 양도세 신고기간…금투세 폐지 수순 (0) | 2024.02.19 |
신한은행, 노인에 키오스크 쓰는 법 알려준다 (0) | 2024.02.19 |
신생아 특별·우선공급, 내달 25일부터 시행 (1) | 2024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