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비교우위란
국가 간 무역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설명한 이론으로 자국 상품의 생산비용이 외국 상품과 비교해 우위를 가질 경우 이러한 상품, 즉 비교우위를 가진 상품의 생산에 특화하여 다른 국가와 무역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입니다. 이는 고전경제학과 경제학자인 리카르도(D. Ricardo)에 의해 자유무역이 교역 대상국 모두에게 유리하다는 국제 분업 및 무역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. 그러나 노동가치설에 근거하여 노동투입에 따른 요소비용만을 고려하였고 두 나라 간에 두 가지 재화 생산만이 가능하다는 제한적인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. 오늘날에는 상품의 종류가 세분되고 또한 같은 품질과 특성일 지난 상품이 다수 생산되고 있어 생산비용의 상대적 차이만으로 무역의 발생원인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.
<출처> 경제금융용어 700선
반응형
'경제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용어 정리] 자기자본비율 (0) | 2023.07.07 |
---|---|
[경제용어 정리] 분리결제 (0) | 2023.07.06 |
[경제용어 정리] 방카슈랑스 (0) | 2023.07.05 |
[경제용어 정리] 발행시장 (0) | 2023.07.05 |
[경제용어 정리] 후순위금융채 (0) | 2023.07.04 |